겨울 바다, 해넘이 그리고 갯벌
'노을 지는 갯마을'에서 추억을 낚다
짠내 가득한 바닷가 마을에 아름다운 갯벌과 정이 가득한 사람들이 모여 산다.
그 속에서 조개도 굽고 갯벌을 뒤지며 살아 있는 자연을 만난다.
그리고 바다 너머로 잠기는 석양을 바라보며 한 해를 정리하고 새로운 희망을 이야기한다.
바다가 보이는 언덕 위의 작은 마을. 그 곳에서 두 눈이 짓무르도록 수평선을 바라본다.
채집하고 싶을 만치 고운 저녁빛이다. 파도 소리는 귓가에 다가와 모래처럼 쌓이고, 밤의 염전에는
소금 같은 별들이 쏟아진다. 어느 것 하나 버릴 것 없는 평화로운 세상, 나는 이곳을 사랑한다.
'노을 지는 갯마을'에서 추억을 낚다
짠내 가득한 바닷가 마을에 아름다운 갯벌과 정이 가득한 사람들이 모여 산다.
그 속에서 조개도 굽고 갯벌을 뒤지며 살아 있는 자연을 만난다.
그리고 바다 너머로 잠기는 석양을 바라보며 한 해를 정리하고 새로운 희망을 이야기한다.
바다가 보이는 언덕 위의 작은 마을. 그 곳에서 두 눈이 짓무르도록 수평선을 바라본다.
채집하고 싶을 만치 고운 저녁빛이다. 파도 소리는 귓가에 다가와 모래처럼 쌓이고, 밤의 염전에는
소금 같은 별들이 쏟아진다. 어느 것 하나 버릴 것 없는 평화로운 세상, 나는 이곳을 사랑한다.
수은주가 점점 영하를 향해 내려간다. 살갗을 파고드는 바람에 코트 깃을 여민다. 따뜻함을 찾아 움직 이는 발걸음은 점점 빨라진다. 마치 시작과 함께 쉼 없이 내달려온 2004년이란 시간처럼. 살아온 하루 하루가, 한달 한달이 어떻게 지났는지 모르지만, 시간은 무심하게도 한 해의 마지막을 향해 쏜살같이 내달린다. 한 해가 저물어 갈 때는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어떤 모양새로 뉘엿뉘엿 넘어가는 계획을 마무리 지을까’,‘어느 산천을 찾아가 가쁜 숨을 내쉬며 휴식을 취할까’ 아니면 ‘어느 호젓한 길을 소중한 이와 함께 걸을까’하는 것들을.... 째깍거리는 시계 초침을 따라 도시 속에서 분주하게 지내온 터일까. 나는 겨울 여행에 대한 환상을 품 는다. 잠시라도 도시에서 몸을 빼내면, 여유로운 겨울의 한 자락을 만날 수 있을까…. 나는 지금 화려하지는 않지만 바다와 갯벌을 품은 작은 어촌에 와 있다. 태안군 소원면 법산 2리 갯마 을. 며칠동안 이 마을에 머물면서 설레는 마음으로 지는 해를 바라본다. 태안은 해안선이 복잡하고 만 과 반도가 많아 예로부터 해안 절경이 많기로 소문난 곳. 특히 긴 여운을 남기며 넘어가는 낙조풍경은 장관 중의 장관이다. 가장 널리 알려진 낙조 포인트는 안면도의 꽂지해수욕장. 할매·할아비 바위 사 이로 내려앉는 해넘이는 국내에서도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포인트다. |
|
|
|
|
|
|
그럼에도 돌아가는 길에 들러봐야 할 곳이 있으니 태안마애삼존불과 신두리 사구가 바로 그곳. 태안읍에서 원북면으로 이어지는 길로 접어들면 태안 여고 지나서 바로 마애삼존불로 향하는 산길이 나온다. 승용차로 5분만 올라가면 산 중턱에서 백제의 미소를 간직한 온화한 불상을 만난다. 교과서 에서‘백제의 미소’라고 배운 서산마애삼존불보다 다소 격이 떨어진다. 그러나 딱딱하고 근엄한 표 정의 불상에 익숙한 탓인지 강건한 얼굴,당당한 신체와 묵중한 법의를 걸치고 있음에도 입가의 옅은 미소는 편안하고 친근하다. 마애불은 자연 암벽에 돋을새김으로 새겨졌는데, 좌우에 여래 입상을 세 우고가운데 보살 입상을 배치한 특이한 구조다.보통 삼존불은 가운데 본존불을 두고 좌우에 협시 보 살을 배치한다. 마지막 코스는 신두리 사구. 여행 경험이 많은 사람은 대부분 거칠고 황량하다고 여기는 사막을 그리 워한다고 한다. 아무런 장식도 없이 그저 하늘과 땅이 맞닿은 모래선. 단순하기 그지없는 광경이지만 자연이 만들어내는 최고의 선물이 들어 있다고 한다. 신두리 사구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사막의 분위기를 경험할 수 있는 곳이다. 규모는 해안을 따라 길이 약 3.4km, 너비 500m∼1.3km.사구의 원형 이 잘 보존된 북쪽 지역 일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큰 기대를 하면 실망도 제법 될 터지만, 모래 언덕에 바람이 훑고 지난 자국과 독특한 식생 등 사막 지역에서 볼 수 있는 특이한 경관이 형성 되어 있다. |
|
|
▷Travel Point 해미읍성 조선 성종 22년(1491)에 왜구의 침입을 대비해 쌓은 읍성. 고창의 모양성, 순천의 낙안읍성과 함께 원형이 잘 보존된 성이다. 읍성을 축성할 다시 충청도의 모든 장정이 동원되었다고 하는데, 그 증거 가 되는 기록이 진남문 아래 성벽에 남아 있다. 본래 해미읍성은 충청도 병마절도사의 영,즉 사령부 가 있었던 곳이다. 1866년 대원군의 천주교 박해 때 천주교도 1,000여 명이 처형된 형장으로 이용되 었다. 정문을 지나 성 안으로 들어서면 약60m앞 정면에 커다란 고목나무가 눈에 들어온다. 수령 300 년이 넘은 이 나무가 바로 사형대로 사용됐다. |
|
▷ How to Go 첫째 날 서해안고속도로를 이용한다. 해미 IC에서 나오면 바로 해미읍성을 지난다. 해미에서 29번 국도를 이 용해 서산으로 간 다음, 다시 32번 국도를 따라 태안읍까지 간다. 태안읍에서 안변도 방향으로 77번 국도를 타고 내려가면 몽산포해수욕장 못 미쳐 진산리에서 ‘장길산 촬영지’라는 이정표가 보인다. 둘째 날 태안읍에서 만리포해수욕장으로 이어지는 32번 국도를 따라가면 소원면 소재지가 나온다.소원주유소 앞에서 ‘노을지는 갯마을’이라고 적힌 이정표를 보고 좌회전해서 들어간다. 신덕염전을 지나 갯바 람펜션을 지나자마자 좌측으로 꺾어져 들어가면 버스정류장이 나오는데,그 옆 건물이 마을회관이다. 갯마을에서 만리포해수욕장은 진행 방향으로 계속 직진하면 된다. 만리포해수욕장에서 천리포·백리 포·십리포·구름포해수욕장은 해안도로를 따라 이어져 있다. 백리포해수욕장에서 십리포해수욕장으 로 가려면 비포장 산길을 돌아서 큰 길로 나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만약 백리포로 바로 가려면 석장골에서 의항리해수욕장으로 가는 갈림길에서 우회전한다. 셋째 날 갯마을에서 32번 국도를 이용해 태안읍으로 나온다. 태안읍 입구에서 원북면으로 가는 603번 지방도 로를 따라 좌회전 후 300m정도만 직진하면 좌측으로 태안마애삼존불이 모셔진 백화산 입구가 나온다. 신두리 사구는 원북에서 634번 지방도로로 접어든 뒤 신두해수욕장으로 빠지면 된다. |
'여행지 소개 > 충청도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남 청양의 뽕잎 누에 체험 여행 (0) | 2008.03.28 |
---|---|
칠갑산 여행 2탄 (0) | 2008.03.28 |
아산 여행 KTX를 타고가도 좋은곳 (0) | 2008.03.28 |
충남 서천 여행 (0) | 2008.03.28 |
학암포와 구례포해수욕장 여행 (0) | 2008.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