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지 소개/충청도 여행지
서천 마량 동백과 해돋이, 쭈꾸미 여행
방낭자
2008. 3. 28. 18:17
봄의 소리 - 서천 마량 동백과 해돋이, 그리고 쭈꾸미 여행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베르디의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La Traviata)”는 우리 귀에도 익숙한 “축배의
노래”로 시작되는 유명한 오페라인데, 여기서 주인공 비올레타는 당시 파리 사교계를 주름잡는 여성으
로 등장해, 가슴에 동백을 꽂고 노래한다. 오페라 제목 자체가 "동백아가씨"라는 뜻으로, 먼저 이를 받
아들인 일본에서 동백 춘(椿)을 써서 “춘희(椿姬)”라는 제목을 붙여 우리는 이 오페라를 흔히 춘희라
고 부르기도 한다. 당시 화려한 프랑스 사교계에서 귀족 여성들이 유행처럼 가슴에 동백을 꽂고 다녔던
것은 역사적 사실이다. 중국 남부지방에서 유럽까지 전해진 동백은 그 붉고 단정하면서도 화려한 빛깔,
당시 유럽인들이 느꼈던 동양의 신비로움과 겹쳐 선풍 같은 인기를 누린 꽃이었다...
이제 봄이다. 하지만 음력을 사용하던 옛날엔 3월은 음력 2월로서, 아직 추위가 채 가시지 않은 겨울 끝
자락으로 통했다. 그러다보니 3월에 피는 꽃들은 겨울에 피는 꽃으로 이해되었다. 이른봄에 이미 꽃망울
을 터뜨리는 매화, 한겨울에도 꽃을 피운다 하여 겨울 동(冬)자가 들어간 “동백”은 그런 꽃들이다. 겨
울에 피어 때로는 옛선비의 지조와 절개, 매운 기상을 상징하던 이 꽃들은 이제 양력을 사용하면서 봄맞
이꽃으로 탈바꿈했다. 특히 동백은 겨울에도 피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아무래도 동백의 명소들은 3월 이
후에 찾아가야 제맛이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베르디의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La Traviata)”는 우리 귀에도 익숙한 “축배의
노래”로 시작되는 유명한 오페라인데, 여기서 주인공 비올레타는 당시 파리 사교계를 주름잡는 여성으
로 등장해, 가슴에 동백을 꽂고 노래한다. 오페라 제목 자체가 "동백아가씨"라는 뜻으로, 먼저 이를 받
아들인 일본에서 동백 춘(椿)을 써서 “춘희(椿姬)”라는 제목을 붙여 우리는 이 오페라를 흔히 춘희라
고 부르기도 한다. 당시 화려한 프랑스 사교계에서 귀족 여성들이 유행처럼 가슴에 동백을 꽂고 다녔던
것은 역사적 사실이다. 중국 남부지방에서 유럽까지 전해진 동백은 그 붉고 단정하면서도 화려한 빛깔,
당시 유럽인들이 느꼈던 동양의 신비로움과 겹쳐 선풍 같은 인기를 누린 꽃이었다...
이제 봄이다. 하지만 음력을 사용하던 옛날엔 3월은 음력 2월로서, 아직 추위가 채 가시지 않은 겨울 끝
자락으로 통했다. 그러다보니 3월에 피는 꽃들은 겨울에 피는 꽃으로 이해되었다. 이른봄에 이미 꽃망울
을 터뜨리는 매화, 한겨울에도 꽃을 피운다 하여 겨울 동(冬)자가 들어간 “동백”은 그런 꽃들이다. 겨
울에 피어 때로는 옛선비의 지조와 절개, 매운 기상을 상징하던 이 꽃들은 이제 양력을 사용하면서 봄맞
이꽃으로 탈바꿈했다. 특히 동백은 겨울에도 피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아무래도 동백의 명소들은 3월 이
후에 찾아가야 제맛이다.
이러한 봄맞이용 동백꽃을 제철에 잘 볼 수 있는 곳이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의 동백숲이다. 흥미 로운 것은 이곳 마량 일대가 서해안 일출의 명소이기도 하다는 점이다. 해가 지는 서해안에서 뜨는 해를 볼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색다른 볼거리이며, 이것은 같은 장소에서 일출과 일몰이 가능하다는 의미인 것 이다. 본래 마량리는 비인만을 향해 활처럼 길게 휘어진 작은 반도의 끝에 붙어 있는 조그마한 포구이다. 지도 상으로 보면 활시위가 팽팽하게 당겨져 있는 듯한 긴곡선의 끝부분에서 남동쪽을 향해 구부러져 있어 여 기서 해돋이가 가능한 것이다. 게다가 한겨울일수록 남쪽으로 치우쳐 해가 뜨기 때문에 대개 11월 부터 3월 정도까지는 바다 위로 바로 뜨는 해를 감상할 수 있다. 서해안고속도로 춘장대IC에서 나와 서면 마량리 방면으로 길을 재촉하면 서면소재지를 지나고 눈앞이 시 원하게 트인 바다가 나타난다. 서면 소재지에서 마량으로 들어가는 약5km의 도로는 내내 바다를 끼고 달 리고있어 마치 땅끝으로 가는 듯한 감흥을 주며, 마량에 이르면 한적하고 고요한 작은 포구의 아늑한 정 경을 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포구의 해돋이. 물빠진 갯벌과 푸른 바다, 항구에 정박중인 고깃배들, 그 들 위로 그들 모두를 끌어안으며 뜨는 해. 느릿느릿한 산들 너머로 떠오르는 붉고 둥근 해는 해발 100미 터가 채 안되는 옥녀봉과 띠섬을 배경으로 아름다운 광경을 연출한다. 붉은 빛 속에서 이미 부산하게 움 직이는 고깃배와 사람들의 그림자는 이 고요한 풍경에 새로운 활기를 더한다. |
|
|
◇ 가는길 수도권 방면에서는 서해안 고속도로를 타고 내려간 다음, 춘장대IC로 빠져 나와 607번 지방도로를 타고 끝까지 가면 된다. 20분 정도 소요.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 대전(회덕분기점)~호남고속도로 논산 IC, 혹은 작년 12월에 개통된 천안-논산간 고속도로 연무IC에서 나온 후, 강경, 서천을 거쳐 마량에 이 를 수 있다. 대중교통으로는 서천읍에서 마량리행(동백정)버스가 자주 있다. 서천까지는 서울 남부터미널, 대전, 군 산 등에서 시외버스가 있다. ◇숙 박 동백정 입구와 그 일대에 깨끗한 숙박시설들이 있다. 서해민텔(041-952-3301, 콘도형, www.seohaemintel.com ), 해맞이파크(952-3531, 콘도형, www.sunrizepark.wo.to ), 동백정별장(952-2245, 콘도형), 에덴민박(952-1957, 콘도형), 똘이식당 민박(952-3024) 등이 있다. 춘장대해수욕장 일대에도 아드리아모 텔(951-6699) 등의 모텔과 벧엘민박(951-8018)등의 민박 시설들이 있다. ◇ 맛 집 |
|